게임 개발자를 향해

관계대수 및 관계해석 본문

정보처리기사/2. 데이터 입출력 구현

관계대수 및 관계해석

뿌단이 2022. 9. 5. 17:58

1. 관계대수

  • 관계대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 관계대수는 릴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해 연산자와 연산규칙을 제공하며 , 피연산자와 연산 결과가 모두 릴레이션이다.
  • 관계대수는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한다.
  • 관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한 순수 관계 연산자와 수학적 이론에서 사용하는 일반 집합 연산자가 있다.

 

2. 순수 관계 연산자

이미지 출처: https://mi-nya.tistory.com/96

 

<여기서 Tip!>

필기에선 무조건 나오는 연산자이다. 

우리는 이를 SQL코드로 배울 것이다.

일단 기호마다 어떤 의미인지 알고 가자.

 

3. 일반 집합 연산자

일반 집합 연산자는 수학적 집합 이론에서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집합 연산자 종류>

  • 합집합(UNION)
  • 교집합(INTERSECTION)
  • 차집합(DIFFERENCE)
  • 카티션 프로덕트(CARTESIAN PRODUCT)

이미지 출처: https://colinch4.github.io/2021-01-14/DB_RelationalAlgebra1/

 

그림만으로도 이해가 가므로 추가설명은 하지 않겠다.

 

4. 관계 해석

관계해석은 간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관계해석은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지닌다.

원하는 정보를 정의할 때는 계산 수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Tip!>

기본적으로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은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 면에서 동등하며, 관계대수로 표현한 식은 관계해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관계해석은 연산자를 적지 않은것을 보면 정보처리기사에서 잘 다루지 않는 것 같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처기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