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ML
- 정보처리기사
- 동적 모델링
- 요구사항 확인
- 파이프 필터 패턴
- UML 다이어그램
- 클라이언트 서버 패턴
- 정보 은닉
- 메타 데이터
- 데이터 입출력
- 정처기
- 요구사항 분석
- 마스터 슬레이브 패턴
- 백준
- 아키텍처 패턴
- 정보처리기사 실기
- 언리얼엔진5
- 알고리즘 문제
- UnrealEngine
- 기능 모델링
- DBMS
- 브로커 패턴
- 단계적 분해
- 언리얼엔진 함수
- Unreal Engint4
- UnrealEngine5
- baekjoon
- 데이터베이스
- 팬아웃
- C++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0)
게임 개발자를 향해

캐릭터 인코딩과 TCHAR컴퓨터는 영문권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알파벳을 1byte로 표현했습니다. (ANSI, ASCII) 하지만 다른 나라는 알파벳처럼 singlebyte로 표현할 수가 없었서 새로운 규약이 필요했습니다.90년대 후반에 Unicode라는 표준을 만들었고 이것을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Unicode가 만들어지기 이전에는 나라들만의 방법을 고안해서 우리는 multibyte 문자열을 만들어서 사용했습니다.(EUC-KR -> CP949로 발전함)이 multibyte가 MS의 Window를 통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었음. 이후 유니코드가 만들어지면서 90년대에 완전히 정착이 됐습니다.근데 multibyte 문자열 체계가 아직까지 윈도우에서 쓰이고 있는것이 문제입니다.서로 호환이 되지..

코딩 표준이란? 코딩할때 알아야할 작성방법, 규칙을 지정한 가이드라인을 말합니다. (코딩스타일, 코딩컨벤션이라고도함.) 좋은 소프트웨어 회사도 회사만의 표준이 있음 (구글도 있음) 사실 회사만의 코딩 방식이 같아야 업무 효울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규칙이지 절대적으로 좋은 표준은 없음.(뭐든 결함이 있다.) 개발을 할 때, 언리얼엔진에서 구축된 시스템에서 게임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엔진 개발과정에서 여러 규칙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언리얼 만의 코딩 표준을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언리얼 공식 문서의 언리얼c++ 코딩 표준 Link! 코딩 표준 언리얼 엔진 4 코드베이스에 에픽게임즈가 사용하는 표준과 규칙입니다. docs.unrealengine.com 1. 명명규칙 명명규칙은 클래스나 변수, 함..

1. 사전 내용 먼저 간단하게 언리얼 엔진의 구조에 있어 Log 창에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선 그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어떠한 객체가 필요합니다. 저는 GameInstance 클래스를 사용해보겠습니다. 2. GameInstance 클래스란? 일단 GameInstance가 뭔지 간단히 설명하자면, Unreal Engine 게임 구조에서 게임마다 GameInstance 를 하나씩 들고있습니다. GameInstance 는 게임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Level간 전환 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수준 관리 체계이며 한마디로 게임을 동작시켜주는 클래스 입니다. GameInstance 를 포함한 Unreal Engine의 모든 객체들은 UObject라는 클래스를 상속받게 되는데 이 개념은 지금 주제와 거리가 있으므로 ..

프로그램(Program)이란? 프로그램이란 실행 가능한 파일을 의미하며 프로그램은 실행되기를 기다리는 명령어(코드)와 정적인 데이터의 묶음이다. 실행파일은 .exe나 .lib, .dll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데이터 이므로 보조기억장치(HDD, SSD)에 적재된다. 프로그램은 비유하자면 설계도이다. 이 프로그램이 RAM에 올라갈 때 어떻게 올라가야 하는지(명령어 코드)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위 확장자의 뜻은 이렇다. .exe : Execution의 약어이며 오래동안 사용되온 일반적인 실행파일의 확장명이다. .lib : Library의 약자이며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 함수를 매번 부르는건 비효율 적이므로 자주 사용되는 함수를 미리 만들어서 모아두는 정적 라이브러리 확장명이다. .dll : ..
1. 통합 개발 환경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 통합 개발 환경 즉 IDE란, 컴파일, 디버그, 코딩 등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필요한 작업을 한곳에서 할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소프트웨어 입니다. 제가 사용해본 IDE는 VisualStudio, VSCode, Eclips등이 있고, C/C++로 간단한 코드를 짜기 좋은 DevC++ 등이 있습니다. 이 이외에도 수많은 컴파일러가 존재합니다. VisualStudio VisualStudio는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한 IDE 입니다. MS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윈도우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여러 언어들과 언어에 최적화된 기능들이 지원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컴파일러 입니다. 많은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무겁다..

안녕하세요 뿌단이입니다! 예전에 대학에서 배웠던 그래픽스 OpenGL 지식을 토대로 창작과제 프로젝트가 있었습니다. 이번엔 OpenGL 포스팅에서 만든 2D 그래픽 환경을 기반으로 게임을 하나 만든 게임을 리뷰해 보겠습니다. 제가만든 게임은 바로 탑 쌓기 게임입니다! Github 주소 클릭! 대학 수업에서 OpenGL 2D를 배운 이후 이 기능들만으로 무엇을 만들 수 있을까 고민했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그래픽으로도 만들 수 있는 게임들 중 Stacking game을 선택했습니다. 이 게임은 옛날 플래시 게임, 안드로이드 개발 초기 시에 킬링타임으로 즐길 수 있었던 고전게임입니다. 게임의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하늘에서 블록이 좌우로 떠다닌다. 2. 상호작용을 하면 탑에 블록을 쌓을 수 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