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개발자를 향해

스토리지 본문

정보처리기사/2. 데이터 입출력 구현

스토리지

뿌단이 2022. 9. 16. 15:53

1. 스토리지(Storage)

스토리지는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스토리지의 종류>

  • DAS
  • NAS
  • SAN

<여기서 Tip!>

스토리지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기술로 DAS, NAS, SAN 가 있다.

 

 

2. DAS(Direct Attached Storage)

  • DAS는 서버와 저장장치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 일반 가정에서 컴퓨터에 외장하드를 연결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된다.
  •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므로 속도가 빠르고 설치 및 운영이 쉽다.
  • 초기 구축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 직접 연결 방식이므로 다른 서버에서 접근할 수 없고 파일을 공유할 수 없다.
  • 확장성 및 유연성이 떨어진다.

 

3.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NAS는 서버와 저장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이다.
  • 별도의 파일 관리 기능이 있는 NAS Storage가 내장된 저장장치를 직접 관리한다.
  • Ethernet 스위치를 통해 다른 서버에서도 스토리지에 접근할 수 있어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
  •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장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DAS에 비해 확장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다.

 

4. SAN(Storage Area Network)

  • SAN은 DAS빠른 처리NAS파일 공유 장점혼합한 방식으로,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 파이버 채널(FC) 스위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 파이버 채널 스위치는 서버와 저장장치를 광케이블로 연결하므로 처리 속도가 빠르다.
  • 서버들이 저장장치 및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 확장성, 유연성, 가용성이 뛰어나다.

 

<여기서 Tip!>

DAS 는 다이렉트 즉 직접연결이다.

직접연결이라 처리속도가 빠르지만 다른서버와 파일공유가 안됨.

그래서 확장성과 유연성이 떨어진다.

 

NAS는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한다.(서버와 스토리지와 연결된 선이 없음.)

네트워크 연결이라 다른서버도 파일에 접근이 가능함.

DAS에 비해 확장성과 유연성이 우수하다.

 

SANDASNAS를 합친 것으로

파이버 채널(Giga bit 속도)이란걸 사용해서 처리속도가 빠르다.

서버들이 파일공유가 가능하다.

확장성, 유연성, 가용성이 뛰어나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처기 화이팅!

 

 

'정보처리기사 > 2. 데이터 입출력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Tree)  (1) 2022.09.16
자료구조  (0) 2022.09.16
데이터베이스 백업  (1) 2022.09.16
데이터베이스 보안  (0) 2022.09.15
데이터베이스 이중화/서버 클러스터링  (1)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