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개발자를 향해

개발 환경 구축 본문

정보처리기사/4. 서버 프로그램 구현

개발 환경 구축

뿌단이 2022. 9. 20. 11:09

개발 환경 구축

 개발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장비를 구축하는것을 의미하며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성능, 편의성 라이선스 등의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제품들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여 구축한다.

 

[하드웨어 환경]

  <클라이언트 종류>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

 

  <서버 종류>

    1. 웹서버(Web Servber) : 클라이언트로 직접 요청받아 처리하는 서버로 정적파일등을 제공한다.

      - HTTP/HTTPS 지원 : 브라우저 요청에 응답할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 통신 기록 : 처리한 요청을 로그파일로 기록

      - 정적 파일 관리 : HTML/CSS, 이미지 등 정적 파일 저장 관리

      - 대역폭 제한 : 트래픽이 많은 경우 서버 과부하 방지를 위해 응답속도 제한

      - 가상 호스팅 : 하나의 서버로 여러 도메인 이름을 연결

      - 인증 : 합법적인 사용자인지 확인

    2. 데이터베이스 서버(DB Server) : DB와 이를 관리하는 DBMS를 운영함

    3. 파일 서버(File Server) : DB를 저장하기엔 비효울적일 때 서비스제공을 목적으로 유지하는 파일 저장

    4.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 : 위 하드웨어 환경들과 클라이언트의 인터페이스 역할, 동적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 환경]

  <시스템 소프트웨어 종류>

    운영체제, 웹 서버 및 WAS 운용을 위한 서버 프로그램, DBMS 등

 

  <개발 소프트웨어 종류>

      1. 요구사항 관리도구 (CASE, HIPO)

      2. 설계 모델링 도구 (UML)

      3. 구현 도구

      4. 빌드 도구

      5. 테스트 도구

      6. 형상 관리 도구(Git)

 

[개발 언어의 선정 기준]

  <선정 기준 종류>

      1. 적정성 : 개발 목적에 적합해야함

      2. 효율성 : 효율적인 코드작성 해야함

      3. 이식성 :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히야함

      4. 친밀성 : 개발자들이 이해가 높은 언어여야함

      5. 범용성 : 개발 사례가 존제하고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있어야함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처기 화이팅!

 

 

'정보처리기사 > 4. 서버 프로그램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듈(Module)  (0) 2022.09.20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0) 2022.09.20
객체지향(Object - Oriented)  (0) 2022.09.20
아키텍처 패턴  (1) 2022.09.20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0) 20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