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요구사항 분석
- 요구사항 확인
- 백준
- 알고리즘 문제
- 동적 모델링
- 파이프 필터 패턴
- DBMS
- 정보 은닉
- 언리얼엔진 함수
- 팬아웃
- UML 다이어그램
- 데이터 입출력
- 언리얼엔진5
- 메타 데이터
- 정보처리기사 실기
- 데이터베이스
- baekjoon
- 정처기
- UnrealEngine
- C++
- 브로커 패턴
- 클라이언트 서버 패턴
- 정보처리기사
- 마스터 슬레이브 패턴
- 아키텍처 패턴
- UML
- UnrealEngine5
- 기능 모델링
- 단계적 분해
- Unreal Engint4
- Today
- Total
목록정보처리기사 (67)
게임 개발자를 향해
안녕하세요 뿌단이입니다. 아래 영상을 보고 블로그 포스트를 좀 다르게 올려 볼 생각입니다. 이 영상의 통계에 따르면 약술형(간단히 설명하시오.) 문제는 거의 안나온다고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6s8PWGL3Cg&t=687s 평균적으로 (프로그래밍, SQL)은 거의 7~9 문제가 나오며 (개념문제)로 나머지 문제가 출제됩니다. 4. 서버 프로그램 구현 14문제 → 평균 1.5문제 7. 애플리케이션 테스트관리 18문제 → 평균 2문제 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15문제 → 평균 1.6문제 11.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25문제 → 평균 2.7문제 2. 데이터 입출력 10문제 → 평균 1.6문제 2. 데이터 입출력 10문제 → 평균 1.6문제 4. 서버 프..
1.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은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이다. 웹 브라우저 간 HTML 문법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와 SGML의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사용자가 직접 문서의 태그(Tag)를 정의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정의한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트리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상위 태그는 여러 개의 하위 태그를 가질 수 있다. 2. SOAP(Simlpe Object Access Protocol) SOAP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HTTP/HTTPS, SMTP 등을 이용하여 XML을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웹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형식과 처리 방법을 지정한다. 기본적으로 HTTP 기반에..
1.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삽입 정렬은 가장 간단한 정렬 방식으로 이미 순서화된 파일에 새로운 하나의 레코드를 순서에 맞게 삽입시켜 정렬하는 방식이다. 평균과 최악 모두 수행시간은 O(n²) 이다. 기본적인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2번을 기준으로 1번에 비교 2. 3번을 기준으로 1번 2번에 비교 3. 4번을 기준으로 1번, 2번, 3번에 비교 4. 5번을 기준으로 1번, 2번, 3번, 4번에 비교 대소를 비교하여 기준보다 작다면 다음 진행을 하고, 기준보다 크다면 기준숫자 앞에 비교한 숫자를 배치하고 다음을 진행. | 8 | 5 | 6 | 2 | 4 | 위와 같이 배열이 있을 경우 1. 첫 번째 실행 결과 | 8 | 5 | 6 | 2 | 4 | - 5보다 8이 크므로 5를 8 앞으..

1. 이진 트리 이진 트리는 차수가 2 이하인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 즉 자식이 둘 이하인 노드들로만 구성된 트리를 말한다. 이진트리의 레벨 i에서 최대 노드의 수는 2^(i-1) 이다. 이진트리에서 단말노드(Terminal Node) 수가 n0, 차수가 2인 노드수가 n2라 할때 n0 = n2 + 1 이 된다. 2. 트리의 운행법 트리를 구성하는 각 노드들을 찾아가는 방법을 운행법이라한다. 이진 트리를 운행하는 방법은 산술식의 표기법과 연관성을 갖는다. Preorder 운행 : Root → Left → Right (A, B, C) Inorder 운행 : Left → Root → Right (B, A, C) Postorder 운행 : Left → Right → Root (B, C, A) 3. Preord..

1. 트리 트리는 정점(Node, 노드)과 선분(Branch, 가지)을 이용하여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그래프(Graph)의 특수한 형태이다. 트리는 하나의 기억공간을 노드(Node)라고 하며,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을 링크(Link)라고 한다. 2. 트리 관련 용어 이미지 출처: 클릭! 노드(Node) : 트리의 기본 요소로 자료 항목과 다른 항목에 대한 가지(Branch)를 합친 것 루트 노드(Root Node) : 트리의 맨 위에 있는 노드 디그리(Degree, 차수) : 각 노드에서 뻗어나온 가지의 수 단말 노드(Terminal Node) : 자식이 하나도 없는 노드(Degree가 0인 노드) 비단말 노드(Non-Terminal Node) : 자식이 하나라도 있는 노드 (Degree가 ..

1. 자료구조 자료구조는 자료를 기억장치의 공간 내에 저장하는 방법과 자료 간의 관계, 처리 방법 등을 연구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저장 공간의 효율성과 실행 시간의 단축을 위해 사용한다. 선형 구조 : 선형 구조는 말 그대로 선같이 일렬로 되어있는 구조이다. 배열(Array) 선형 리스트(Linear List) [연속 리스트(Contiguous List), 연결 리스트(Linked List)] 스택(Stack) 큐(Queue) 덱, 데크(Deque) 비선형 구조 : 비선형 구조는 말 그대로 선형이 아닌 것이다. 트리(Tree) 그래프(Graph) 비선형은 트리와 그래프밖에 없다. 나머지는 전부 선형. 위 종류들을 아래에 설명하겠다. 2. 배열(Array) 배열은 크기와 형이 동일한 자료들이 순서대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