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개발자를 향해

데이터베이스 개요 본문

정보처리기사/2. 데이터 입출력 구현

데이터베이스 개요

뿌단이 2022. 9. 3. 18:14

1. 데이터 저장소

  • 데이터저장소는 데이터들을 논리적인 구조조직화하거나 물리적인 공간구축하는것을 의미한다.
  • 논리 데이터저장소데이터데이터 간의 연관성, 제약조건식별하여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한 것이다,
  • 물리 데이터저장소논리 데이터저장소를 소프트웨어가 운용될 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저장장치에 저장한 것을 의미한다.

 

2.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람에 의해 공동으로 사용될 데이터중복을 배제하여 통합하고, 쉽게 접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운영 데이터이다.

 

<데이터베이스 구분>

  • 통합 데이터(Integrated Data)
  • 저장 데이터(Stored Data)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3. DBMS

  • DBMS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주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 기존 파일 시스템이 갖는 데이터종속성중복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시스템이다.

 

 

<DBMS의 필수 기능> 

기능 종류  설명
정의 기능
(Definition)
데이터의 형(Type)과 구조에 대한 , 이용방식, 제약 조건 등을 명시하는 기능
조작 기능
(Manipulation)
데이터 검색, 갱신, 삽입, 삭제 등을 위해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
제어 기능
(Control)
데이터의 무결성, 보안, 권한 검사, 병행 제어제공하는 기능

 

<여기서 Tip!>

데이터베이스에 있어 기본중의 기본인 개념이며 정말 중요한 개념이다.

무조건 알고 가야한다.

 

 

4. 데이터 독립성

 데이터의 독립성은 종속성에 대비되는 말논리적 독립성물리적 독립성이 있다.

독립성 종류 설명
논리적 독립성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시킴으로써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키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을 받지 않음
물리적 독립성  응용 프로그램과 보조기억장치 같은 물리적 장치를 독립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추가/변경 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을 받지 않음

 

 

5. 스키마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제약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이다.

종류 내용
외부 스키마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
개념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
-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 베이스로, 하나만 존재함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 구조
- 실제로 저장될 레코드의 형식,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방법,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을 나타냄.

 

<여기서 Tip!>

데이터베이스에 가장 기초적인 개념들이다.

아래 사진을 보면 이번 챕터의 개념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이미지 출처: https://press17.tistory.com/40

 

 

위 그림을 보고 설명하겠다.

 

일단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조직이나 구조를 의미한다.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에 저장된다.

스키마는 아래와같이 3가지로 나뉜다.

 

 

 

<외부 스키마>

사용자에 따라 어떤 구조로 데이터를 제공할지에 대한 구조를 뜻한다.

데이터 질의어를 통해 여러 사람들이 본인들 기준에 맞춰 데이터를 추상화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응용프로그램, 사용자 마다 여러 환경에 맞추어 쓸 수 있게 변경시킨 것으로 외부스키마는 여러개일 수 있다.

 

<개념 스키마>

실제 데이터를 DB에 어떻게 저장할지에 대한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뜻한다.

종속성 중복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구조를 만들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는 단 하나이며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외부 스키마를 만들 수 있다.

 

<내부 스키마>

데이터베이스가 물리적 저장장치에 어떻게 저장될지에 대한 물리적 구조를 뜻한다.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으로

 

 

 

결론적으로 스키마들은 외부에서 개념 개념에서 내부로 이어진다.

그리고 그림과 같이 스키마 구조 사이에서 꼭 필요한 것은 바로 독립성이다.

이 개념이 없으면 수많은 오류가 생길 것이다.

 

 

 

<논리적 독립성>

외부/개념 사상이라고도 부른다.

외부 스키마와 개념 스키마를 독립 시킴으로써 개념스키마를 변경해도 외부 스키마는 영향받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물리적 독립성>

개념/내부 사상이라고도 부른다.

개념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를 독립시킴으로써 내부 스키마를 변경해도 개념 스키마는 영향받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 챕터에서 개념간의 관계를 잘 알면 쉽게 이해하고 외울 수 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처기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