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개발자를 향해

데이터베이스 설계 본문

정보처리기사/2. 데이터 입출력 구현

데이터베이스 설계

뿌단이 2022. 9. 4. 14:45

1.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사용자의 요구분석하여 그것들을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맞게 변형한 후 DBMS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2.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고려사항

항목 내용
무결성 삽입 삭제 갱신 등의 연산 후에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정해진 제약 조건을 항상 만족해야한다.
일관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 사이나 특정 질의에 대한 응답이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일정해야 한다.
회복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장애 발생 직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한다.
보안 불법적인 데이터의 노출 또는 변경이나 손실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효울성 응답시간의 단축, 시스템의 생산성, 저장 공간의 최적화 등이 가능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확장 데이터베이스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Tip!>

위 고려사항은 DB 개념에서 계속 나오는 개념들이다. 꼭 알아두고 가자.

 

 

3.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 요구조건 분석 ]  :  요구조건 명세서 작성

            ↓

  [ 개념적 설계 ]   :  개념 스키마, 트랜잭션 모델링, E-R 모델

            ↓

  [ 논리적 설계 ]   :  목표 DBMS에 맞는 논리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

  [ 물리적 설계 ]   :  목표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

            ↓

        [ 구현 ]         :  목표 DBMS의 DDL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트랜잭션 작성

 

 

 

<여기서 Tip!>

제일 중요한 것은 설계  3가지의 순서를 알아두는 것이다.

 

 

 

1. 요구조건 분석 : DB 사용자의 용도, 데이터의 종류, 처리형태, 제약조건 등을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요구조건 명세를 작성한다.

 

2. 개념적 설계 : 분석한 요구조건에 맞게 데이터를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한다. (E-R 다이어그램) 

 

3. 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를 토대로 데이터를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 자료구조로 변환, 매핑하는 과정이다.

 

4. 물리적 설계 : 앞에서 번환한 논리적 설계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게 물리적 구조를 설계한다.

 

4. DB 구현 : 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에서 도출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파일로 생성하는 과정이다.

 

 

 

개념 논리 물리는 설계하는 것이지 DB를 생성하는것이 아니다.

모든 설계가 끝난 후에 제작하고 적제를 한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처기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