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개발자를 향해

모듈(Module) (문제) 본문

정보처리기사/4. 서버프로그램 구현 (문제)

모듈(Module) (문제)

뿌단이 2022. 9. 18. 23:20

1. 모듈화를 통해 분리된 시스템의 각 기능으로, 서브루틴, 서브시스템, 소프트웨어 내의 프로그램, 작업 단위 등을 의미한다. 이것의 독립성은 결합도와 응집도에 의해 측정된다.

 

답 : 모듈(Module)

 

 

 

2. ( 1 )은 모듈 간에 상호 의존하는 정도 또는 두 모듈 사이의 연관 관계이다.

이것이 약할수록 품질이 ( 2 ), 강할수록 품질이 ( 3 ).

 

( 1 ) : 결합도(Coupling)

( 2 ) : 높고

( 3 ) : 낮다

 

 

 

3.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 및 그 내부 자료를 직접 참조하거나 수정할 때의 결합도

 

답 : 내용 결합도

 

 

 

4. 공유되는 공통 데이터 영역을 여러 모듈이 사용할 때의 결합도이며, 파라미터가 아닌 모듈 밖에 선언된 전역변수를 사용하여 전역 변수를 갱신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할는 때의 결합도

 

답 : 공통(공유) 결합도

 

 

 

5. 어떤 모듈에서 선언한 데이터(변수)를 외부의 다른 모듈에서 참조할 때의 결합도

 

답 : 외부 결합도

 

 

 

6. 어떤 모듈이 다른 모듈 내부의 논리적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나 제어 요소를 전달하는 결합도

 

답 : 제어 결합도

 

 

 

7.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배열이나 레코드 등의 자료 구조가 전달될 때의 결합도

 

답 : 스탬프 결합도

 

 

 

8.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가 자료 요소로만 구성될 때의 결합도

 

답 : 자료 결합도

 

 

 

9. 결합도의 종류를 강한 순으로 나열하시오.

(공통 결합도, 내용 결합도, 제어 결합도, 자료 결합도, 외부 결합도, 스탬프 결합도)

 

답 : 내용 결합도 - 공통 결합도 - 외부 결합도 - 제어 결합도 - 스탬프 결합도 - 자료 결합도

 

 

 

10. ( 1 ) 모듈의 내부 요소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 정도이며, 이것이 약할수록 품질이 ( 3 ), 강할수록 품질이 ( 2 ).

 

( 1 ) : 응집도(Cohesion)

( 2 ) : 낮고

( 3 ) : 높다

 

 

 

11. 모듈 내부의 모든 기능 요소들이 단일 문제와 연관되어 수행될 경우의 응집도

 

답 : 기능적 응집도

 

 

 

12. 모듈 내 하나의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 데이터를 그다음 활동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의 응집도

 

답 : 순차적 응집도

 

 

 

13.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 모였을 경우의 응집도

 

답 : 교환(통신)적 응집도

 

 

 

14. 모듈이 다수의 관련 기능을 가질 때 모듈 안의 구성 요소들이 그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경우의 응집도

 

답 : 절차적 응집도

 

 

 

15. 특성 시간에 처리되는 몇 개의 기능을 모아 하나의 모듈로 작성할 경우의 응집도

 

답 : 시간적 응집도

 

 

 

16.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 요소들로 하나의 모듈이 형성되는 경우의 응집도

 

답 : 논리적 응집도

 

 

 

17. 모듈 내부의 각 구성 요소들이 서로 관련없는 요소로만 구성된 경우의 응집도

 

답 : 우연적 응집도

 

 

 

18. 응집도의 종류를 강한 순으로 나열하시오

(절차적 응집도, 논리적 응집도, 시간적 응집도, 기능적 응집도, 교환(통신)적 응집도, 우연적 응집도, 순차적 응집도)

 

답 : 기능적 응집도 -  순차적 응집도 -  교환(통신)적 응집도 -  절차적 응집도 - 시간적 응집도 -  논리적 응집도 - 우연적 응집도

 

 

 

19. 어떤 모듈을 제어하는 모듈의 수를 의미하는 것은?

 

답 : 팬인(Fan-In)

 

 

 

20. 어떤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모듈의 수를 의미하는 것은?

 

답 :  팬아웃(Fan-out)

 

 

21.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두고 도형을 이용해 표현하는 방법이다. 박스 다이어그램, Chapin Chart라고도 하며 GOTO나 화살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연속, 선택 및 다중 선택, 반복의 3가지 제어 논리 구조로 표현하며, 조건이 복합되어 있는 곳의 처리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식별하는 데 적합하다.

 

답 : N-S 차트(Nassi-Scheniderman Chart)